하드디스크 검사 프로그램 GM HDD SCAN 하는법 SDD 관리법

윈도우 10 하드디스크 검사 프로그램 GM HDD SCAN 4.0 사용법 프로그램 사용방법 AtoZ, 배드섹터 원격진단 시스템 오류 검사 복구 배드카운트 및 하드디스크 올바른 사용 관리 방법 유의사항. 정전기 차단, 컴퓨터 메모리 온도관리 하는법을 알아봅시다

윈도우10 하드디스크 검사

HDD SDD 모두 일반적인 상황

잘 되던 컴퓨터가 되지 않을 때 당황하게 되는데요. 최근에는 복구 업체를 통해서 해결을 위해 택배를 보내기도 하면서 하드디스크를 복구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이처럼 물리적인 충격에 약한 하드디스크는 간혹 알수없는 문제를 일으키곤 합니다. 또, 사용 해 보면 알겠지만 컴퓨터가 갑자기 느려지는 경우에나 갑자기 다운이 되는 경우에도, 블루스크린이 뜨는 경우에 필히 배드섹터와 같은 문제를 한번쯤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하드디스크 스캔 GM HDD SCAN

배드섹터 검사 프로그램

GM HDD SCAN

우선 사용 해 보시면 알겠지만 쉬운 사용법이 압도적 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외장하드 베드섹터 검사도 가능한 hdd 검사를 통해서 자신의 sdd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 해 보시는 것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지엠데이터에서는 다음과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소개 해 드리려 합니다.

일반적으로 관리에 신경을 쓰기가 쉽지 않은 하드디스크(ssd / hdd)는 하드디스크 검사 프로그램을 통해서 관리를 해주면 정말 좋은데요. 원격진단 서비스도 하고있길래 다음에는 문의를 해 볼 생각이기도 합니다.

프로그램 사용방법 A to Z

컴퓨터에 익숙지 않으신 분들이 사용하기 좋은 것으로 보이는 무료 원격진단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유저 컴퓨터의 작업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에, 원격 작업 시 데이터 유출에 대한 우려를 없앨 수 있는 점검이 됩니다. 이는 엔지니어도 볼 수 없는 정보로 처리가 된다고 해요.

GM DATA의 상담 전화 연결을 통해서 ID 발급을 받고 녹색불이 들어와 연결됨을 확인 한 후 고객 드라이브의 구조 확인부터 시작합니다. 실제 데이터를 보지 않고 손상된 부분만을 점검하기에 데이터 복구 전문가의 안전하고 편안한 방법으로 원격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유출 걱정이 없는 원격프로그램

하드디스크 관리법

하드디스크 올바른 사용 관리 방법

민감한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면, 컴퓨터가 많이 느려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일을 읽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중요자료를 관리할 경우 치명적이며, 컴퓨터 사용 중 종료가 되는 증상, 블루스크린 발생 후 시스템이 중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하드디스크 스캔 뿐만 아니라, 윈도우 관련 소프트웨어로 정기적인 점검을 해주는 것도 정말 중요하죠.

하드디스크 정기적 검사가 필요할까?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HDD/SDD의 경우 고성능의 저장 매체로써, 작은 공간에 아주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읽고 쓰기가 가능해 이전부터 꾸준히 사용된 저장매체라고 할 수 있죠.

다만, 하드디스크의 경우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이 아니기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수명을 다해 교체해야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고성능 하드디스크 NVMe PCIe SSD를 흔히 볼 수 있다

일종의 소모품으로 볼 수 있기에 사용자의 관리능력에 따라 사용기간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기 마련입니다. 다시말해, 하드 디스크는 데이터가 계속 쓰여지고 지워지는 특성 때문에 작업을 하는 와중에 데이터가 들어있는 공간은 뒤섞이게 되는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요. 여러 곳에 나누어 저장된 자료를 찾기 위해서, 정리를 해 주는 작업도 틈틈이 필요하고, 그 중 배드섹터는 없는지에 대한 확인도 필요합니다.

하드디스크는 정전기에 주의해야 할까?

제가 많은 분들께 알려드리는 사안 중 하나인데, 하드 디스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읽는 것이 전력이 가져다주는 전기에 의해 작동이 됩니다. 미세하더라도 정전기는 하드 디스크로 보면 아주 큰 전기가 될 수 있는데

정밀한 하드 디스크에 정전기와 같은 큰 전기가 흐르게 될 경우 디스크에 큰 영향을 주게 될 수도 있기에 조심해야 합니다. 컴퓨터는 접지를 꼭 해주는 것이 좋고, 확인 또는 접지가 쉽지않다면 전원 케이블에 접지선이 있는 전원 케이블을 이용할 경우 그나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고정하기

고정해서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전 HDD 시절엔 헤드가 하드 디스크의 내부에 있었기 때문에, 작은 충격이라도 상당히 조심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흔들림 때문에 이 부품이 손상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플래시 드라이브는 이러한 위험은 거의 없어졌지만, 저장장치에 대해 물리적인 충격을 야기할 수 있는 비 고정된 상태는 하드디스크에겐 굉장히 불안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온도 관리

위에 설명 해 드린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HD Tune Pro SSD 검사 프로그램도 있는데, 이처럼 풀로드로 배드섹터 복구 하다보면 하드디스크의 열이 올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자기기의 온도 관리는 정말 중요한데요. 온도 관리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 온도 전압 팬속도 측정 프로그램 스피드팬 SpeedFan 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하드디스크의 본연의 성능을 내기 위한 필수 과제일 뿐만 아니라, 수명에도 온도관리는 중요하니까 기기의 열이 잘 빠져나가는 환경을 만드는 것과 같이 신경 써 보세요.

참고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별점을 남겨주세요

별점 / 5. 투표 수 :

이 글의 첫 별점을 남겨주세요